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s)
국제표준이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제품, 서비스, 기술, 프로세스 등에 대한 규격을 정한 표준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가 간 무역 장벽을 줄이고, 상호 운용성을 높이며,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됩니다.
국제표준을 공적 표준 (Formal Standard)과 사실상 표준 (De Facto Standard)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공적 표준
공식적인 국제기구나 정부, 또는 산업협회에서 제정한 표준입니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 국제 통신연합(ITU) 등과 같은 공식적인 조직에서 개발됩니다.
이 표준은 일정한 규제적, 법적 권위를 가질 수 있으며, 법적 구속력을 가지거나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채택됩니다.
예를 들어, ISO 9001 (품질 경영 시스템)이나 ISO 14001 (환경 경영 시스템) 같은 표준은 공적 표준입니다.
사실상 표준
공식적인 표준화 기관에서 제정된 표준은 아니지만, 산업이나 기술 분야에서 사실상 널리 채택되고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기업이나 기술이 사실상 표준이 되어 널리 사용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표준은 법적 강제력이 없지만, 시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사실상 산업 표준처럼 기능합니다.
예를 들어, Microsoft의 Windows 운영 체제나, USB 포트와 같은 기술들이 사실상 표준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특정 웹 브라우저(Chrome, Firefox 등)에서 사용되는 웹 표준도 사실상 표준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공적 표준
1. ISO(국제표준화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산업 및 기술 표준을 개발하는 비정부 기구
제품 품질, 안전, 효율성 등을 보장하는 표준을 제정
예시: ISO 9001(품질경영), ISO 14001(환경경영), ISO 10303(STEP)
2.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전기, 전자,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기구
ISO와 협력하여 전자 및 전기기술 관련 표준을 제정
예시: IEC 61508(기능 안전), IEC 60034(전동기 표준)
3. ITU(국제전기통신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정보통신(IT) 및 전자기술 관련 표준을 제정하는 UN 산하 기구
이동통신, 네트워크, 방송 관련 표준을 관리
예시: ITU-T H.264(비디오 압축 기술), ITU-T G.992.5(ADSL2+)
사실상 표준
1. 산업 컨소시엄 기반 표준 기구
W3C, USB-IF, Bluetooth SIG, PIC-SIG 등
2. 기업 주도 표준 기구
Adobe, Microsoft, Google, Apple 등
3. 오픈소스 및 개발자 커뮤니티 기반 표준 기구
Apache Software Foundation, Linux Foundation, Eclipse Foundation, Mozilla Foundation 등
4. 통신 및 네트워크 표준 기구
IEEE, IETF, 3GPP 등
5. 기타 산업별 사실상 표준 기구
반도체, 자동차, 가전제품, 클라우드 등